토토유: 먹튀검증 토토사이트 추천 커뮤니티 | 먹튀 신고,조회 | 꽁머니

실시간 스포츠중계

유머 & 이슈

토토유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재미난 유머와 이슈 정보를 확인 해보세요~!

한국전쟁에서 여길 빼앗겨서 김일성이 3일이나 통곡했다는 곳

페이지 정보

작성자 드루와
댓글 0건 조회 49회 작성일 25-07-24 12:00

본문

cce99b24c77bd6e42ccc2bbe6b472eac.jpg

바로 철원평야, 즉 철의 삼각지대 (Iron triangle) 되겠습니다.

 

철의 삼각지대는 아래의 철원과 김화 위의 평강을 꼭지점으로 하여 잇는 삼각형의 지역을 말하며 한국전쟁 때 유엔군 사령관 리지웨이가 처음 이름을 붙여 유명해진 곳입니다. 왜 이런 명칭이 붙여졌냐면 여길 차지하면 방어와 공격에 유리하고 차지하지 못한 쪽은 불리한 지형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천연 요새의 기능을 하는, 즉 철옹성이기 때문입니다.

 

철의 삼각지대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곳은 바로 철원평야 (일명 남자들에게는 철베리아 또는 기침소리시티로 유명)이며 한반도 중부에서 몇 안되는 드넓은 곡창지대라 쌀이 많이 나고 철원쌀은 실제로 맛이 뛰어나기로 소문이 날 정도입니다.

 

철원평야는 전역이 38도선 이북으로 한국전쟁 이전에는 북한의 영토였으나 한국전쟁으로 새로 그어진 군사분계선이 중부와 동부에서 38도선보다 35km 이상 북쪽으로 전진한 덕분에 대부분 대한민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현재 철의 삼각지대의 약 60%는 대한민국이 약 40%는 북한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김일성은 한국전쟁 중 철원평야 대부분을 빼앗기자 고암산 (일명 김일성고지)에 올라가 3일을 통곡하고 식음을 전폐했다고 하는데 이는 철원평야가 드넓은 곡창지대로 농업에 유리하기 때문에 여기를 빼앗긴 것은 북한에게 매우 큰 치명타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소이산에서 바라본 고암산이며 고암산은 북한 철원군과 평강군의 경계에 위치합니다.

1.jpg1.jpg

 

그러나 김일성이 저렇게 밤새고 먹지도 못할 정도로 통곡한 이유는 철원평야가 단순한 곡창지대고 쌀이 많이 나는 것 때문만이 아니며 더 큰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교통의 교차로이며 군사적으로 엄청난 요충지이기 때문으로 여기를 가지냐 빼앗기느냐에 따라 서울 공격이 매우 쉬워지느냐 아님 불가능해지느냐를 좌우하는 열쇠이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철의 삼각지대를 중심으로 하는 통로들을 표시한 지도들입니다.

2.jpg2.jpg

3.png3.png

4.png4.png

 

위 지도를 보면 철의 삼각지대를 중심으로 여러 통로들이 모이고 또 여러 통로들이 나뉘고 갈라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이 곳이 교통의 교차로로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가 되며 실제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기능해왔고 후삼국 때는 궁예가 태봉의 수도로 삼기도 했을 정도입니다.

 

철의 삼각지대를 지나는 교통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남쪽 방면: 3번 국도 (연천-동두천-양주-의정부), 43번 국도 (갈말-영평-포천-의정부), 47번 국도 (김화-이동-일동-진접) 을 통해 서울로 향합니다.

 

2. 남동쪽 방면: 5번 국도를 통해 수피령을 넘어 화천을 지나 춘천, 홍천, 원주로 향합니다.

-> 실제 고구려가 백제, 신라를 향해 남진할 때 이 경로를 항상 활용하였으며 한국전쟁 개시 때에도 북한은 이 경로를 이용해 춘천 축선에서 남침했습니다.

 

3. 북동쪽 방면: 김화-금성-창도를 거쳐 각각 회양, 철령을 넘어 원산으로 가는 경흥로와 창도에서 갈라져 내금강까지 가는 금강산선이 나뉩니다.

 

4. 북쪽 방면: 경원선로 즉 추가령 구조곡을 따라 평강에서 추가령을 넘어 고산, 안변, 원산으로 향합니다.

-> 실제 추가령 구조곡은 서울에서 동해안으로 가기 가장 지형적으로 편한 길이며 추가령 단층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백두대간의 이 추가령 계곡을 기준으로 낭림산맥과 태백산맥이 나뉩니다.

 

5. 서쪽 방면: 철원에서 서쪽으로 안협을 거치고 임진강 건너 황해도 토산으로 진입해 황해도 남동부의 사각지대를 (한포리, 토산 시변리, 신계 침교리, 평산) 접합니다. 이 사각지대에서 경의선 축선과 만나 봉산, 사리원, 평양으로 가는 경로와 (경의선로) 신계, 수안, 연산을 지나 동평양으로 가는 경로가 (방원령로) 서로 갈라집니다.

 

그 외 평강에서 마식령 산맥 및 아호비령 산맥을 관통해 이천 및 판교 지하리를 거쳐 신계로 가는 경로가 (3번 국도) 있으나 지형이 험합니다.

 

아래는 소이산에서 바라본 비무장지대 너머의 평강고원 일대입니다.

5.jpg5.jpg

 

아래는 고대산에서 바라본 비무장지대 너머의 평강고원 일대입니다.

 

6.jpg6.jpg

 

아래는 소이산에서 서쪽 방면으로 바라본 조망입니다. 철원평야에서 안협 및 토산을 거쳐 황해도 동부로 가는 통로를 볼 수 있습니다.

 

7.jpg7.jpg

8.jpg8.jpg

 

즉 위를 정리하면 철원을 포함한 철의 삼각지대는 (Iron triangle: 남서쪽의 철원, 남동쪽의 김화, 북쪽의 평강) 아래와 같은 특성들이 있습니다

 

1. 여러 통로가 모이고 여러 통로가 갈라지는 곳이라 교통의 요지이자 교통결절점입니다

 

2. 서울, 경기와 관북을 잇는 남북 방향의 통로와 영서와 해서 및 관서를 잇는 남동-북서 방향의 통로가 서로 교차합니다

 

3. 경원선이 관통하여 서울-원산의 중간 지점이며 내금강으로 가는 금강산선이 분기합니다.

 

4. 드넓은 평야지대가 펼쳐져 있어서 맛있는 쌀이 나 농업에 유리하고 병력과 군사 물자의 대규모 집결에 적절합니다

 

5. 주변이 높고 험한 고지로 둘러싸여 있어서 공격과 방어에 모두 유리한 입지입니다

 

6. 서울로 향하는 남북축 주요 통로 3개와 (3번 국도, 43번 국도, 47번 국도) 춘천, 원주로 남하하는 영서내륙 통로가 동시에 갈라집니다

 

7. 강원도 내륙에서 황해도 동부를 (토산, 금천, 신계, 평산) 거쳐 사리원과 평양으로 오가는 통로의 관문이자 길목입니다.

 

8. 우리가 여기를 가지게 되면 중부전선에서 북한의 남침을 한 곳에 모아 막을 수 있는 엄청난 장점이 있으며 유사시 북진할 경우 동시에 원산 방면과 (추가령 구조곡= 철원-원산 축선) 황해도 방면으로 (곡산 회랑 = 방원령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9. 따라서 북한 입장에서 여러 경로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던 38도선 분단 시절과 달리 지금은 중부지역에서 남침할 수 있는 방법은 철의 삼각지대를 뚫는 것이 유일합니다

 

실제로 철원 지역은 강원도에 속하면서도 경기도, 강원도, 함경도, 황해도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유일한 도시입니다.

 

실제 이 곳을 우리에게 빼앗긴 북한과 중공은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철원평야를 다시 되찾기 위해 38선 원상복귀를 강하게 주장했으며 이는 대한민국에서 사실상 방어가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한 개성 시내와 개풍, 연안반도, 옹진반도를 돌려주는 대가로 철의 삼각지대는 물론 피의 능선, 단장의 능선, 파로호, 펀치볼, 백암산, 향로봉 등 38선 이북의 경기 북동부와 강원도의 주요한 군사적 요충지들을 모두 되찾겠다는 속셈이었습니다.

 

유엔군은 당연히 이 제안을 거절했으며 다음으로 공산측은 연안반도와 옹진반도만 양보해서 돌려줄 테니 철의 삼각지대를 포함한 38도선 이북 중동부 지역의 여러 요충지들을 돌려 달라고 제안했으나 역시 유엔군은 거절합니다.

 

결국 공산측은 마지못해 현 접촉선을 군사분계선으로 하는 것에 동의했으며 이로 인해 철의 삼각지대의 반 이상을 대한민국이 수복하였고 드넓은 철원평야의 대부분을 우리가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평강고원만 북한이 소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북한은 38선 분단 시절에 비해 황해도와 강원도 간 동서 연결이 많이 어려워졌으며 실제로 안협과 평강 간 통로는 효성산을 가지고 있어 방어할 수 있으나 군사분계선에 매우 가깝게 붙어 있으며 백마고지 및 화살머리고지에 의해서 감시당하여 군사적으로 활용하기 불가능합니다. 물론 고암산을 가지고 있어 평강-이천-지하리-신계 통로를 온전히 활용할 수 있지만 이 축선은 마식령 산맥 및 아호비령 산맥을 통과하고 큰옥실고개를 넘기 때문에 선형이 불량하고 군사적으로 활용도가 낮습니다.

-> 그래도 평강고원은 북한에게 남아 있어 황해도-강원도 간 연결이 어렵기는 해도 가능한 상태이며 만약 평강고원까지 빼앗겼으면 평양원산선 이남에서 황해도-강원도 연결은 완전히 차단되며 평양원산선도 위협받을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다만 북한은 고암산, 오성산, 삼각고지, 어은산 등 몇 고지들을 끝까지 사수하였고 (특히 오성산은 김일성과 모택동이 무조건 필사적으로 사수하라고 명을 내릴 정도였으며 여기를 넘겨주게 되면 군사분계선 자체가 수십km나 뒤로 밀리게 된다며 조선 역사에 오명을 남길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로 인해 38선 분단 시절에 비해 군사적으로 많이 불리해졌지만 그래도 방어가 가능한 상태입니다.

 

아래 사진은 철원, 김화 지역 주민 및 군인이라면 다들 모를리가 없는 오성산입니다. 높이가 높고 크기도 매우 웅장해서 존재를 모를 수가 없는 산이며 사진만 봐도 왜 김일성과 마오쩌둥이 무조건 사수해야만 한다고 했는지 직감할 수 있습니다.

-> 실제로 오성산을 우리가 빼앗았으면 회양, 평강고원, 금성, 창도 일대를 전부 감제할 수 있게 되며 북한은 추가령-철령 이남에서 방어선을 삼을 마땅한 지형물이 없어집니다. 결국 전선은 추가령-철령 선까지 올라가 군사분계선이 지금보다 약 50km 더 북상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더욱 아쉬운 부분입니다.

9.jpg9.jpg

10.jpg10.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 로그인

주간 BEST

포인트랭킹

1 드루와 268,000점
2 두껍이 59,440점
3 부잣집막내아들 38,990점
4 엔비 36,500점
5 텔레토빙 29,000점
6 렛츠고우 28,000점
7 자냐 27,000점
8 교촌공매도 27,000점
9 미미미 26,500점
10 test2 26,000점

접속자집계

오늘
417
어제
905
최대
1,207
전체
19,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