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의 미국의 AI 정책 및 계획 발표
페이지 정보
본문
오늘 새벽 6시에 백악관 라이브 방송할 예정이며 샘알트만 연설도 포함
https://www.youtube.com/@WhiteHouse (백악관 공식 유튜브 계정)
백악관 AI 실행 계획 PDF 문서 파일
https://www.whitehouse.gov/wp-content/uploads/2025/07/Americas-AI-Action-Plan.pdf
아래 내용은
백악관 AI 계획 문서의 내용을 오픈아이의 딥리서치로 요약했습니다
# 미국 백악관 AI 실행 계획(“America’s AI Action Plan”) 요약
– 백악관은 ‘AI 혁신 촉진’을 명분으로 7월 말 대통령에 20페이지 분량의 AI 행동 계획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 계획은 강력한 연방 규제 대신 민간 주도 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대전환을 예고합니다. 구체적으로 OSTP(과학기술정책실)가 기업·국민 대상 규제 조사를 실시하고, OMB(예산관리처)는 현행 AI 규제·지침을 폐지·완화하도록 각 부처와 협력하게 됩니다. 또한, AI 관련 연방 자금은 지나치게 규제가 심한 주(州) 대신 혁신 친화적 주에 우선 지원하도록 하고, FCC는 주(州) AI 규제가 통신법 수행에 미칠 영향도 검토합니다. FTC 조사도 AI 혁신을 저해하는 과도한 이론이나 조치를 되돌리는 방향으로 재검토합니다.
– 아울러, 백악관은 AI 시스템의 ‘자유로운 표현’ 원칙을 강조하며 NIST(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 ‘오정보,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기후변화’ 관련 언급을 삭제하도록 권고했습니다. 정부 조달 기준도 이념적 편향 없이 객관적 시스템을 개발하는 대형언어모델(LLM) 개발사로만 한정하도록 변경합니다. 나아가 NIST 산하 AI 표준센터(CAISI)를 통해 중국의 첨단 AI 모델이 공산당 논조·검열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연구·공개할 계획입니다.
– 개방형(open-source) AI 채택도 촉진합니다. 스타트업·학계가 민간 연산자원에 장기계약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계산 자산 시장’을 조성하고, NSF의 NAIRR(국가AI연구자원) 파일럿 프로그램과 연계해 민간 기업과 협력하여 연구자들에게 최첨단 컴퓨팅·모델·데이터 접근성을 높입니다. OSTP는 차세대 AI 돌파구 발굴을 위한 ‘국가 AI 연구개발(R\&D) 전략계획’을 발표하고, 상무부 NTIA는 중소기업이 오픈소스·오픈웨이트 모델을 채택하도록 이해관계자를 소집합니다.
– AI 보급·도입 가속을 위해 전국에 AI 규제 샌드박스 및 우수성 센터를 설립합니다. FDA·SEC 등 규제기관이 참여하는 샌드박스에서 기업·연구소가 데이터를 개방 공유하며 AI 도구를 시험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의료·에너지·농업 등 분야별로 NIST가 주도하는 다자간 논의를 열어 해당 분야 AI 표준 개발과 생산성 개선을 추진합니다. 국방부·국가정보부는 미국과 경쟁·적대국의 AI 채택 수준을 정기 평가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기관의 AI 도입 전략을 지속적으로 보완합니다.
– 환경·인프라 규제도 대폭 완화해 AI 인프라 건설을 지원합니다. 데이터센터 관련 활동은 환경영향이 크지 않다면 NEPA(국가환경정책법)상의 범주별 제외(Categorical Exclusion) 대상으로 지정하고, 이미 지정된 예외 항목도 채택합니다. 2015년 도로교통법(FAST Act)에 따른 FAST-41 절차를 자격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확대 적용하며, 연방 토지를 활용해 데이터센터와 발전 인프라를 구축하도록 합니다. 청정수법·대기정화법 등 환경 허가 절차도 간소화하여 AI 데이터센터 허가를 신속 처리하고, DOE의 ‘PermitAI’ 프로젝트로 AI를 활용한 환경 심사도 활성화합니다. 이와 함께 전력망을 강화하여 기존 전원 활용과 첨단 기술 적용으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 기반을 마련합니다.
– 인공지능 인프라 확장에 필요한 인력을 키웁니다. 전기·HVAC 기술자 등 핵심 직종을 정의하고 국가 인력계획을 수립합니다. 노동부·산업계와 협력해 현장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과 도제도(Registered Apprenticeship)를 확대하고, 중·고등학교에서 조기 진로교육을 강화합니다. 직업훈련과정 개선을 통한 역량 향상, 교육과 CTE(직업기술교육) 프로그램의 산업 연계도 추진합니다.
– 국가안보 및 외교 분야에서도 AI 리더십을 강조합니다. 미군·정보기관 전용 보안데이터센터를 위한 기술 기준을 마련하고 기밀 컴퓨팅 환경을 확충합니다. AI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해 DHS 주도로 ‘AI 정보공유 센터(AI-ISAC)’를 신설하고 AI 취약점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행하며, DOD와 ODNI는 AI 시스템의 안전성(안전한 설계·보증) 표준을 수립합니다. 딥페이크 위협에 대비해 NIST CAISI는 ‘증거 포렌식 가이드라인’과 벤치마크 개발을 검토합니다.
– 국제 무대에서는 미국 AI 기술의 수출과 동맹 체결을 강화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혁신의 모든 힘을 결집해 기술 패권을 달성하고 유지해야 한다”며 미국 우위를 강조했습니다. 백악관은 이를 위해 AI 기술 전체(하드웨어·모델·소프트웨어 등)를 동맹국에 수출·공유하도록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UN·OECD·G7 등 국제기구에서 중국 주도의 규제 논의를 견제하고 미국 가치에 맞는 기준을 제시할 것을 제안합니다. 첨단 AI 칩 수출통제도 강화합니다.
DOC와 OSTP·NSC는 칩의 물리적 위치 추적 등 기술을 이용해 통제 위반을 막고, DARPA 등과 협력해 AI 해석가능성·안정성 등 기초 연구에 투자합니다. 동맹국들도 미국의 수출통제 체계를 따라오도록 조율하고, 필요시 대외 직접생산규칙(FDPR) 등으로 역수출을 막습니다.
위의 글은 보정한거고
딱딱한 요약글은 https://www.dogdrip.net/imagestorage/647919121 여기로
**전체요약:** 백악관의 AI 실행 계획은 **혁신 촉진과 규제 완화, 자유 보장, AI 인프라 확충, 인력양성, 국가안보 강화, 기술외교**를 포괄적으로 다룹니다. 민간 주도 개발과 세계적 기술경쟁 우위를 강조하면서도, AI 도구 오남용과 안보 위협을 방지하려는 조치들이 병행되었습니다. 미국은 이를 통해 AI 시대의 경제·안보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목표입니다.
간단요약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AI 혁신 가속 및 규제 완화
자유 표현·공정성 보장
개방형 AI 지원
AI 보급·채택 촉진
인력·교육 강화
국가안보 대비
국제협력 및 규제 조정
위와 같은 정책을 펼칠 예정이며
동맹국(한국) 및 파트너에게 미국 프론티어 AI 모델 수출할 예정임
- 이전글렌탈여친 의뢰를 수행하는 아루.manhwa 25.07.24
- 다음글의외로 데뷔한 뮤지션들 중 가장 부자인 남자 25.07.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